분류 전체보기29 방사성폐기물 운반 우라늄을 채광 및 처리하여 핵연료를 제조하고 이를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후 재처리하여 플루토늄 등 새로 생성된 연료 물질을 회수하여 다시 원자로 연료로 사용하는 일련의 순환과정을 핵연료주기라고 하는데, 핵연료주기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물질의 운반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우라늄 광산에서 정련, 변환 및 농축시설 등의 원료처리시설로 우라늄 광석 및 연료 원료의 운반 원료처리시설에서 연료 가공공장으로 육불화우라늄 운반 연료 가공공장에서 원자력발전소로 신연료 집합체 운반 원자력발전소의 폐기물처리시설에서 같은 부지 내의 임시 저장시설 또는 영구처분 시설로 중. 저준위폐기물 운반 원전 내의 연료저장건물에서 중간 저장시설 또는 재처리시설로의 사용후연료 운반 재처리시설에서 연료 가공공장으로 재처.. 2022. 6. 8. 광자/중성자와 물질의 상호작용 광자와 물질의 상호작용 광자인 감마선과 엑스선은 전자와 질량이 없는 에너지를 띤 전자파로써 물질을 직접 이온화시키지는 못하지만 에너지를 물질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2차 하전입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원자를 이온화시킨다. 광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전자파이므로 물질 내에서 모든 에너지를 물질에 부여하기까지 상당한 거리를 투과할 수 있다. 공기 중에서 광자가 투과할 수 있는 거리는 초기 에너지에 따라 수 m에서 수백m에 이른다. 광자는 에너지와 물질의 원자번호에 따라 물질 내에서 광전효과, 컴프턴산란, 전자쌍생성 및 광핵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상실하여 소멸하는데, 방사선 측정과 방호에서 중요한 상호작용은 광전효과, 컴프턴 산란, 전자쌍생성이다. 광전효과 광전효과는 물질에 입사한 광자가 원자의 내각전자와 충돌.. 2022. 6. 7. 내부피폭 방호원칙 내부피폭에 대한 방호를 위해서는 외부피폭 방호원칙인 시간, 거리, 차폐와 관계된 기준을 준수하고 선원의 격납, 적절한 시설이나 설비로 공기 중 방사성물질의 농도 희석 그리고 방사성물질의 인체 내 흡입경로 차단 등 내부피폭 방호 3원칙을 잘 지켜야 한다. 내부피폭 발생 시 방사성핵종은 특정 장기에 집착되는 특성이 있는데 핵종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그중에서 뼈에 모이기 쉬운 향 골 성 핵종을 bone seeking 핵종이라고 하는데 32-P, 45-Ca, 239-Pu, 226-Ea, 90-Sr 등이 있다. 향 골 성 핵종은 대체로 유효반감기가 길고, 뼈의 성장이 왕성한 부분에 침착되어 뼈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또는 골수에 조사되어 조혈기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방사선생물학이나 의학적으로 중요하다. 우라늄.. 2022. 6. 7. 방사선 발생장치 취급 및 사용시설 방사선 발생장치 취급 방사선 발생장치는 하전입자를 가속시켜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대통령령(원자력안전법 시행령 8조)에서는 아래 장치를 방사선 발생장치로 정하고 있으며 다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정하는 용도 및 용량 이하의 것은 제외한다. 엑스선 발생장치 사이클로트론 신크로트론 신크로 사이클로트론 선형가속장치 베타트론 반. 데 그라프형 가속장치 콕크로프트. 왈 톤형 가속장치 변압기형 가속장치 마이크로드론 방사광가속기 가속 이온 주입기 기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것 방사선 발생장치에서 제외되는 용도 및 용량 등에 관한 고시는 다음과 같다. 하전입자를 가속시켜 방사선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가속된 하전입자 및 이로 인해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방사선의 최대 에너.. 2022. 6. 7. 방사능과 방사성붕괴 반감기와 평균수명 최초의 방사능이 1/2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한다. 방사성물질이 1/e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평균수명이라 한다. 방사성원소의 평균수명은 붕괴한 원자 수와 이들의 수명을 곱하고 모든 원자에 대해 이것을 합한 후, 최초 원자 수로 나누어 준다. 평균수명에 0.693을 곱하면 반감기가 된다. 즉 평균수명은 반감기보다 약 1.44배 정도 길다. 방사성 붕괴 불안정한 원자핵이 스스로 붕괴하여 방사선을 내면서 다른 핵종으로 변하는 것을 붕괴라고 한다. 불안정한 원자핵이 붕괴를 일으키는 방식은 크게 알파붕괴, 베타붕괴, 감마붕괴 자발핵분열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알파붕괴 알파붕괴란 불안정한 원자핵이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의 합에 해당하는 알파 입자를 방출하고 다른 원.. 2022. 6. 4.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방사선이 세포에 조사될 때의 작용은 직접작용과 간접작용으로 나눌 수 있다. 방사선 에너지가 생체의 유기분자에 바로 흡수되어 장해를 주는 것이 방사선의 직접작용이며, 방사선이 물에 전리작용을 일으켜 생성된 이온, 유리기, 여기 분자 등이 다른 생체 구성물질을 유리기로 전환시키거나 손상을 끼치는 과정을 간접작용이라 한다. 방사선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생체영향 측면에서 볼때 직접작용에 의한 영향이 전체 영향의 약 25%에 상응하며 나머지 75%는 간접작용을 통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방사선의 직접작용 방사선의 직접작용은 방사선 에너지가 생체를 이루고 있는 분자에 직접 흡수되어 분자구조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쵸적설은 방사선의 직접작용을 기초로 한 이론으로 초기 방사선 생물학에.. 2022. 6. 3. 방사선원 방사선원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는 방사선원을 사람이나 집단에 잠재적으로 정형화할 수 있는 방사선량을 발생시키는 물리적 실체나 절차로 정의하고 있다. 선원에는 방사성물질이나 방사선 발생장치와 같은 물리적 선원, 병원이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설치장소, 핵의학 검사 절차, 백그라운드, 환경방사선 같은 물리적 선원집단의 절차 등이 포함된다. 설치장소에서 방사성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될 경우에는 설치장소 전체를 선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방사선원은 이용 분야별, 핵종별, 존재별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존재 상태에 따라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인공방사선은 방사선방호의 일반적인 대상이지만 자연방사선은 관리 대상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자연방사선이면서 관리 대상에 포함하거나 .. 2022. 6. 3. 방사선 방호의 필요성과 실무 방사선방호의 필요성 1895년 11월 독일의 렌트겐이 X선을 발견하고 1896년 2월에 프랑스의 베크렐이 우라늄의 방사능을 발견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방사선이 인체에 장해를 준다는 사실이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즉, X선이 발견된 지 6개월도 지나지 않아 X선의 과다 피폭으로 인한 인체 영향의 우려가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1896년 3월에(X선 발견 4개월 만에) 미국의 에디슨과 머튼은 안구의 상해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영국과 독일에서도 X선의 과다 노출로 인한 손과 피부의 탈모와 홍반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그리고 1898년 큐리 부부가 처음으로 우라늄 광석에서 라듐을 분리한 지 3년 후인 1901년에는 소량의 라듐을 소지하고 있던 연구원의 피부에 화상 발생이 보고되면서 라듐의 .. 2022. 6. 3. 이전 1 2 3 4 다음